질서와 정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질서와 정의"는 2002년 롤란다스 팍사스에 의해 자유민주당으로 창당된 리투아니아의 정당이다. 2002년 팍사스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탄핵되었고, 이후 당명을 질서와 정의당으로 변경했다. 2012년 총선에서 사회민주당 등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으나 2020년 해산되었다. 롤란다스 팍사스가 창당자이며 주요 인물로는 팍사스, 발렌티나스 마주로니스, 레미기우스 제마이타이티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투아니아의 정당 - 리투아니아 농민녹색연합
리투아니아 농민녹색연합은 2001년 창당되어 여러 차례 명칭을 변경한 리투아니아의 정당으로, 좌파 포퓰리즘 성향을 띠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지만 사회문화적 문제에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한다. - 리투아니아의 정당 - 노동당 (리투아니아)
러시아계 사업가 빅토르 우스파스키흐가 2003년 창당한 리투아니아의 중도좌파 포퓰리즘 정당인 노동당은 사회 복지 확대와 긴축 정책 반대를 주장하며, 불법 자금 조달 의혹, 친러시아 성향 논란, 반이민 정서, 코로나19 허위 정보 유포 등으로 논란이 되었다. - 2002년 설립된 정당 - 녹색농민연합
라트비아 녹색농민연합은 2002년 라트비아 녹색당과 농민연합의 연합으로 시작된 중도 성향의 정당으로,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경제 정책을 중시하며 유럽 회의주의적 성향을 보이고, 2023년 실리냐 내각에 참여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 2002년 설립된 정당 - 요비크
요비크는 2003년 헝가리에서 창당되어 초기 극우 민족주의를 표방했으나 2014년 이후 중도우파로 노선을 전환하려 시도하며, 초기 극우 성향으로 반유대주의 및 인종차별 논란, 자경단 조직 운영 등으로 비판을 받았지만, 2010년 총선에서 제3당으로 부상하며 국정에 진출하여 헝가리 정치 지형 변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질서와 정의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국가 | 리투아니아 |
이름 | 질서와 정의 |
로마자 표기 | Tvarka ir teisingumas |
약칭 | TT |
설립 | 2002년 3월 9일 |
해산 | 2020년 6월 6일 |
합병 대상 | 자유와 정의 |
본부 | 빌뉴스, Gedimino pr. 10 / Totorių g. 1 |
창립자 | 롤란다스 박사스 |
마지막 대표 | 레미기유스 지마이타이티스 |
분리 | 리투아니아 자유연합 |
당원 수 | 12,043명 (2018년) |
웹사이트 | http://www.tvarka.lt |
이념 및 정책 | |
이념 | 국민보수주의 우익 포퓰리즘 온건한 유럽회의주의 |
정치적 위치 | 우익 |
국제 관계 | |
유럽 정당 | 유럽 직접 민주주의 동맹 |
유럽 의회 그룹 | 유럽 국민 연합 (2004–2009) 자유와 민주주의 유럽 (2009–2014) 자유와 직접민주주의 유럽 (2014–2019) 무소속 (2019–2020) |
색상 | |
색상 | 노랑 파랑 |
의회 의석 | |
국회 의석 | 5 / 141 |
유럽 의회 의석 | 0 / 11 |
지방 의회 의석 | 87 / 1524 |
시장 | 2 / 60 |
2. 역사
2002년 롤란다스 팍사스 등에 의해 '''자유민주당'''(리베랄루 데모크라투 파르티야/Liberalų demokratų partijalt)이라는 이름으로 창당되었다.[34] 팍사스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부패하고 비효율적인 기존 정당에 맞서 새로운 정당을 설립했다고 알려져 있다. 새로운 정당은 기존 정당을 강하게 비판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정치에 불만을 가진 사람들의 공감을 얻었다. 그러나 단순히 비판만 반복할 뿐 구체적인 정책이나 정치 사상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 팍사스가 승리한 이후, 포퓰리즘적이며 나치즘과 민족주의에 통하는 것이라는 비판이 더욱 강해졌다. 많은 공무원들이 대통령의 지시에 따르지 않는 태도를 보였지만, 팍사스의 지지자들은 이것이 불법 행위에 해당한다고 생각했다. 자유민주당은 "당이 이러한 상황에서 청렴한 정치에 반하는 기존의 제약이나 부패를 지속하는 지배층 등에 맞서는 정당으로서 명예를 회복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팍사스는 대통령직에서 탄핵되었다.
2006년 5월 13일 당 대회에서, 당은 존립 위기에 처해 있음을 인정하면서, 국민이 부패와 권력 남용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주장하며 당명을 '''질서와 정의당'''(파르티야 트바르카 이르 테이싱우마스/Partija Tvarka ir teisingumaslt)으로 변경했다.[34] 공식적인 이유는 다른 4개 정당이 자유민주당과 마찬가지로 "자유"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혼란을 야기하기 때문이었지만, 일부 당원들은 당이 창당 당시보다 더 보수적인 성향으로 변했다는 것을 반영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2012년 5월, 10월 총선을 앞두고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과 노동당과 연립 협정을 맺었다.[35] 10월 선거 후 연립 정부에 참여했다.
2013년, 노동당과의 합병이 논의되었으나, 이후 결렬되었다.[36]
2015년 2월 17일, 발렌티나스 마즈로니스 전 당수가 질서와 정의당을 탈당했다. 그의 아들인 안드류스 마즈로니스도 질서와 정의당을 탈당했다. 발렌티나스는 노동당에, 안드류스는 자유운동당에 각각 입당했다.
2018년 9월 29일, 당 창립자이자 오랫동안 당수를 역임했던 롤란다스 팍사스 전 대통령이 질서와 정의당을 탈당했다.
2020년 6월, 레미기유스 제마이타이티스 당수는 질서와 정의당을 해산하고, 전 빌뉴스 시장 아르투라스 주오카스가 이끄는 리투아니아 자유연합 및 아르투라스 파울라우스카스 전 국회의장과 함께 새로운 정당 자유와 정의를 결성하기로 합의했다.
2. 1. 창당과 초기 활동 (2002-2004)
2002년 롤란다스 팍사스가 리투아니아 자유연합 당 대표 선거에서 패배한 후, 자유민주당(Liberal Democratic Party, LDP)을 창당했다.[1] 팍사스는 세이마스(리투아니아 의회)의 자유당 의원 13명을 이끌고 당을 창당하여 제4당으로 만들었으며, 전국적으로 자유연합 당원뿐만 아니라 리투아니아 중앙연합(예: 께스투티스 트레초카스)과 신연합 (사회자유주의자) 당원들도 합류했다.[1] 팍사스는 기존 정치권의 부패와 비효율성에 대한 비판을 통해, 정치에 불만을 가진 사람들의 공감을 얻으며 새로운 정당을 설립했다.2002-2003년 리투아니아 대통령 선거 1차 투표에서 팍사스는 19.7%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 결선 투표에서 "변화를 위한 투표"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54.7%의 득표율로 현직 대통령 발다스 아담쿠스를 꺾고 승리했다.[1][12] 이 선거는 200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와 비교되었고, 팍사스는 그의 포퓰리즘 때문에 장-마리 르펜과 비교되기도 했지만, 르펜과 달리 리투아니아의 유럽 연합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 가입 과정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1]
2003년 6월, 팍사스는 이전 행정부의 정치 부패와 싸우기 시작했으나,[12] 10월에 팍사스가 자신의 선거 운동에 40만 달러를 기부한 러시아 사업가 유리 보리소프에게 시민권을 부여하고 정치적 호의를 제공했으며, 팍사스의 고위직 직원들이 러시아 범죄 조직과 연루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상황이 반전되었다.[12] 팍사스는 범죄자들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그의 직원들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밝혀졌고, 팍사스는 측근 고문들의 사퇴를 제안했지만, 팍사스 자신이 사퇴해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졌다.[12]
팍사스는 이러한 주장을 조사하기 위한 의회 위원회가 정치적 이유로 설립되었다고 주장하며 협력을 거부했고,[12]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신연합 (사회자유주의자), 자유중앙연합, 조국연합 등 4개 당은 탄핵 절차를 시작했다.[13] 2003년 12월, 리투아니아 헌법재판소는 보리소프에게 시민권을 부여한 것이 불법적이고 탄핵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12] 2004년 4월 6일, 세이마스는 3개 항목에 대해 탄핵 투표를 실시하여 팍사스를 파면했다.[14] 탄핵 후 형사 재판에서 팍사스는 모든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으나,[14] 헌법재판소는 팍사스가 대통령, 세이마스 의원 및 기타 고위직에 영구적으로 출마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팍사스는 종신 탄핵에 대해 유럽인권재판소와 유엔 인권 위원회에 불만을 제기하여 각각 2011년과 2014년에 유리한 판결을 받았으나, 2018년 현재까지도 인권 침해가 지속되고 있다.
팍사스 대통령의 후임을 선출하기 위한 대통령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은 팍사스를 지명하려 했으나 헌법재판소에 의해 기각되어 후보를 내지 못했다.[14] 같은 해 유럽 의회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은 6.8%의 득표율과 1석을 획득했으며, 빌뉴스 대학교의 전 총장인 롤란다스 파빌리오니스가 유럽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어 국가를 위한 유럽 연합에 합류했다.
같은 해 10월 의회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은 "롤란다스 팍사스를 위한 질서와 정의 연합"을 구성하여 11석을 획득했으나, 중도우파 정당들의 협력 실패로 중도좌파 연합이 집권을 유지했다.[14]
2. 2. 당명 변경과 재도약 (2006-2016)
2006년 5월 13일 당 대회에서, 당은 어려운 창당 과정을 성공적으로 극복했음을 자축했다. 또한 리투아니아 국민들이 부패와 권력 남용에 지속적으로 맞서 싸우도록 격려하며, 당명을 '질서와 정의'로 변경했다고 선언했다.[34] 당명 변경의 공식적인 이유는 네 개의 서로 다른 정당이 당명에 '자유주의'라는 단어를 사용했기 때문이지만, 일부 당원들은 새로운 당명이 2002년 창당 당시보다 더 보수적인 당의 입장을 반영한다고 보았다.[34]2007년 지방 선거에서 전반적인 결과는 실망스러웠지만, 빌뉴스에서 최다 득표를 기록하고 사회민주당(LSDP)과 연정을 구성하여 유오자스 임브라사스를 시장으로 당선시켰다.[15] 이는 세이마스의 질서와 정의 당 의원들이 알리타의 민영화 처리 문제로 여러 LSDP 내각 구성원에 대한 불신임안을 지지했음에도 이루어진 일이다.[15]
2008년 선거에서 팍사스의 이미지를 쇄신하는 전략을 사용하여 세이마스에 출마했다. 탄핵 이후 팍사스가 공직을 수행할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전국 영화관에서 상영된 영화를 공개했다.[9] 의석 수를 크게 늘리고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당의 득표율은 12.7%로 약간 증가했고, 의석 수는 4석 증가하여 15석에 그쳤다.[9] 이러한 미미한 증가는 질서와 정의와 같은 유권자를 공유하는 국가 부활당의 부상 때문이었다. 중도우파의 의석 점유율이 극적으로 두 배로 증가하면서 질서와 정의당을 제외한 세 개의 정당이 정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9]
200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질서와 정의당은 2004년 1석에서 2석으로 의석 수를 늘리며 3위를 차지했다. 선거 후 해산된 국가 연합을 위한 연합(UEN)을 탈퇴하고, 더욱 유럽 회의적인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유럽(EFD)에 합류했다.
2012년 5월, 2012년 10월 선거를 앞두고 노동당 및 사회민주당과 선거 후 협상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16][35] 질서와 정의당은 이들 정당과 함께 정부에 참여했고, 이는 2016년까지 지속되었다.
2014년 유럽 의회 선거 이후, 질서와 정의당 MEP들은 유럽 의회에서 EFD 그룹에 다시 합류했고, 이 그룹은 새로운 의회 회기 동안 자유와 직접 민주주의를 위한 유럽(EFDD)으로 개명되었다. 2016년 10월 선거에서 질서와 정의당은 세이마스에서 8석을 얻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고, 이 결과 이후 롤란다스 팍사스가 당 대표직에서 사퇴했다.
2. 3. 쇠퇴와 해산 (2016-2020)
2016년 리투아니아 총선에서 질서와 정의는 8석을 얻는데 그쳐 참패했다. 롤란다스 팍사스(Rolandas Paksas) 전 대통령은 당 대표직에서 사퇴했고, 당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34]2018년 여름, 리투아니아 농민녹색연합,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노동당, 그리고 질서와 정의 사이에 상호 협력 가능성을 논의하는 협상이 시작되었다. 2018년 9월 11일, 이들 정당은 신뢰와 공급 협약에 서명했다.[17] 2019년 5월 29일,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노동당과 질서와 정의의 당수인 게디미나스 키르킬라스와 레미기우스 제마이타이티스는 이들 정당과 리투아니아 농민녹색연합 간의 확대 연정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음을 공표했다.[17] 2019년 6월 7일, 리투아니아 폴란드인 선거행동 – 기독교 가족 동맹 의회는 당이 이러한 논의에 참여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고,[18] 이 논의는 2019년 7월 5일에 종료되었다.[19]
그러나 새로운 연정은 질서와 정의 의회 의원 그룹이 2019년 9월 10일 해산되면서 불과 두 달 만에 끝났다. 질서와 정의 의회 의원 그룹 대다수가 "리투아니아의 복지"라는 새로운 의원 그룹을 설립했기 때문이다(이 그룹은 2020년 1월 중순까지 존속했다).[20] 2019년 9월 19일, 이 의원 그룹은 연정 당과 신뢰와 공급 협약에 서명했다. 2019년 10월 23일, 질서와 정의는 연정에서 축출되었다.[21]
2018년 말, 롤란다스 팍사스가 당을 탈당하면서 질서와 정의는 유럽 의회 대표를 잃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페트라스 그라줄리스, 케스타스 콤스키스(Kęstas Komskis) 등 주요 인사들이 제명되거나 사퇴하면서 당은 큰 위기를 맞았다.[22] 2019년 9월 25일, 레미기우스 제마이타이티스는 "주권 리투아니아" 또는 "연합 리투아니아 – 주권 리투아니아"라는 새로운 정당 결성을 제안했다.[22]
2020년 리투아니아 총선을 앞두고 전 당원들은 자유와 정의뿐만 아니라 리투아니아 농민녹색연합(예: 알기만타스 둠브라바)과 리투아니아 자유당(예: 파게기아이 시의 대부분의 의원들과 바이다스 벤다라비추스 시장)에도 합류했다.[23]
2020년 6월, 레미기우스 제마이타이티스 당수는 질서와 정의당을 해산하고, 전 빌뉴스 시장 아르투라스 주오카스가 이끄는 리투아니아 자유연합 및 아르투라스 파울라우스카스 전 국회의장과 함께 새로운 정당 자유와 정의를 결성하기로 합의했다. 이로써 질서와 정의당은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3. 주요 인물
- 롤란다스 팍사스(Rolandas Paksas)는 당의 창립자이다. 2002년 리투아니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대통령이 되었으나, 2004년 탄핵으로 대통령직을 상실하였다. 팍사스는 2002년부터 2003년, 그리고 2004년부터 2016년까지 당 대표를 역임했다.
- 발렌티나스 마주로니스(Valentinas Mazuronis)는 롤란다스 팍사스가 대통령으로 재임하던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당 대표를 역임했다.
- 레미기주스 제마이타이티스(Remigijus Žemaitaitis)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당 대표를 역임했으며, 자유와 정의 창당을 주도했다.
- 페트라스 그라줄리스(Petras Gražulis)는 논란이 많은 보수 정치인이자 LGBT 권리의 강력한 반대자로,[24] 반동성애 발언으로 유명하다.[25] (이는 명백히 한국의 진보적 가치관에 반하는 행위이다.)
- 유오자스 임브라사스(Juozas Imbrasas)는 전 유럽 의회 의원이자 빌뉴스 시장이었다.
- 마리야 아우슈리네 파빌리오니에네(Marija Aušrinė Pavilionienė)는 유명한 리투아니아 페미니스트이자 인권 운동가로, 과거 이 당의 당원이었다. (이러한 인권 운동가의 과거 당적은 이 당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한다.)
- 롤란다스 파빌리오니스(Rolandas Pavilionis) (1944–2006)는 전 빌뉴스 대학교 학장이었다.
3. 1. 롤란다스 팍사스
롤란다스 팍사스는 당의 창립자이다. 2002년 리투아니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대통령이 되었으나, 2004년 탄핵으로 대통령직을 상실하였다.3. 2. 발렌티나스 마주로니스
롤란다스 팍사스가 대통령으로 재임하던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발렌티나스 마주로니스가 당 대표를 역임했다.3. 3. 레미기주스 제마이타이티스
레미기주스 제마이타이티스(Remigijus Žemaitaitis)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당 대표를 역임했으며, 자유와 정의 창당을 주도했다.3. 4. 페트라스 그라줄리스
페트라스 그라줄리스는 논란이 많은 보수 정치인이자 LGBT 권리의 강력한 반대자로,[24] 반동성애 발언으로 유명하다.[25]3. 5. 유오자스 임브라사스
유오자스 임브라사스(Juozas Imbrasas)는 전 유럽 의회 의원이자 빌뉴스 시장이었다.3. 6. 마리야 아우슈리네 파빌리오니에네
마리야 아우슈리네 파빌리오니에네는 유명한 리투아니아 페미니스트이자 인권 운동가로, 과거 이 당의 당원이었다.3. 7. 롤란다스 파빌리오니스
롤란다스 파빌리오니스(Rolandas Pavilionis, 1944–2006)는 전 빌뉴스 대학교 학장이었다.4. 선거 결과
4. 1. 대통령 선거
2002~2003년 대통령 선거에서 롤란다스 팍사스가 결선 투표에서 54.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1] 1차 투표에서는 19.7%를 득표하여 2위를 차지했다.[1] 그러나 이후 2004년, 2014년, 2019년 대통령 선거에는 후보를 내지 못했다. 2009년에는 발렌티나스 마주로니스가 출마했으나 6.16%의 득표율로 3위에 그쳤다.[1]4. 2. 국회의원 선거
2004년 리투아니아 의회 선거에서 롤란다스 팍사스 연합 "질서와 정의" 소속으로 11석을 획득하며 원내 5당이 되었다. 2008년 리투아니아 의회 선거에서는 15석을 획득하여 원내 4당이 되었다. 그러나 2012년 리투아니아 의회 선거에서는 11석, 2016년 리투아니아 의회 선거에서는 8석으로 의석수가 감소하였다.선거 | 득표수 | % | 의석 수 | 증감 | 순위 | 정부 참여 |
---|---|---|---|---|---|---|
2004년 | 135,807 | 11.36 | 11 | 11 | 5위 | |
2008년 | 156,777 | 12.68 | 15 | 4 | 4위 | |
2012년 | 100,120 | 7.63 | 11 | 4 | 4위 | |
2016년 | 67,817 | 5.55 | 8 | 3 | 5위 | (2016–2019) |
(2019–2020) |
4. 3. 유럽 의회 선거
2004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6.8%의 득표율로 13석 중 1석을 획득하였다. 2009년 선거에서는 11.9%의 득표율로 12석 중 2석을 획득하여 3위를 기록하였다. 2014년 선거에서는 14.2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11석 중 2석을 얻어 4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2019년 선거에서는 2.73%의 득표율에 그쳐 의석 획득에 실패했다. 당시 전 당 대표였던 롤란다스 팍사스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4. 4. 지방 선거
2007년 지방 선거에서는 팍사스 탄핵의 영향이 우려되었지만, 빌뉴스 시의회 전체 의석의 3분의 1을 획득하고, 빌뉴스 시장에 당 소속의 유오자스 이엠브라사스가 선출되는 등 선전했다. 전국 총 1,550개 의석 중 181석을 획득했다.[37] 2011년 지방 선거에서는 1,526석 중 155석을 획득하여, 이전 선거에 비해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참조
[1]
논문
Lithuania
2003-12-00
[2]
웹사이트
P. Gražulis prašo teismo pašalinti iš Seimo rinkimų partiją "Laisvė ir teisingumas"
https://www.alfa.lt/[...]
[3]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5
CQ Press
[4]
웹사이트
Lithuania
https://web.archive.[...]
[5]
간행물
Comparing Populist Political Parties in the Baltic States and Western Europe
http://www.ecprnet.e[...]
European Consortium for Political Research
[6]
서적
The Populist Radical Right in European Elections 1979–2009
Vandenhoeck & Ruprecht
[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9-06-22
[8]
서적
Lithuania
Routledge
[9]
논문
The parliamentary election in Lithuania, October 2008
2009-06-00
[10]
웹사이트
Litauen am Vorabend der Parlamentswahlen 2012
https://www.kas.de/e[...]
2012-10-09
[11]
논문
Lithuania
2006-12-00
[12]
논문
Lithuania
2004-12-00
[13]
웹사이트
Balsavimo rezultatai
https://www3.lrs.lt/[...]
[14]
논문
Lithuania
2005-12-00
[15]
논문
Lithuania
2008-12-00
[16]
뉴스
Lithuania's three major opposition parties sign electoral agreement
http://www.15min.lt/[...]
2012-05-25
[17]
웹사이트
Valdančiosios koalicijos sutartis stabdoma, pradedamos derybos dėl jos atnaujinimo
https://www.vz.lt/ve[...]
[18]
웹사이트
V. Tomaševskis: dalyvausime derybose dėl valdančiosios koalicijos
https://www.lrytas.l[...]
2019-06-07
[19]
웹사이트
Baigiamos derybos dėl koalicijos: planuojama pasirašyti sutartį
https://www.respubli[...]
2023-07-12
[20]
웹사이트
"Tvarkiečių" atskalūnų frakcija – be M.Puidoko: "R.Karbauskiui asmeniškumai svarbiau nei stabilumas"
https://www.15min.lt[...]
[21]
웹사이트
Koalicijoje neliko "Tvarkos ir teisingumo" partijos
https://www.tv3.lt/n[...]
[22]
웹사이트
"Tvarkiečiai" rado sprendimą: Kurs naują partiją ir ieškos naujo lyderio
https://m.delfi.lt/l[...]
[23]
웹사이트
"Tvarkos ir teisingumo" Pagėgių skyrius pereina į Liberalų sąjūdį
https://m.diena.lt/n[...]
2020-02-13
[24]
웹사이트
Gay parade goes off safely
http://www.alfa.lt/s[...]
Alfa.lt
[25]
웹사이트
MP Petras Gražulis: Let's chase gays and ambassadors out of Lithuania
http://www.15min.lt/[...]
15min.lt
2012-05-16
[26]
논문
Lithuania
2003-12-00
[27]
웹사이트
Lithuania
http://www.parties-a[...]
[28]
논문
Lithuania
2006-12-00
[29]
간행물
Comparing Populist Political Parties in the Baltic States and Western Europe
http://www.ecprnet.e[...]
European Consortium for Political Research
[30]
서적
The Populist Radical Right in European Elections 1979–2009
Vandenhoeck & Ruprecht
[31]
서적
Lithuania
Routledge
[32]
웹사이트
Daugiausiai nario mokesčio surinko socdemai - 643 tūkst. Lt
http://www.delfi.lt/[...]
[33]
웹사이트
リトアニアの主要政党の概要 - Partija Tvarka ir Teisingumas
http://src-h.slav.ho[...]
中東欧・旧ソ連諸国の選挙データ
[34]
웹사이트
リトアニアの主要政党の概要 - Liberalų demokratų partija
http://src-h.slav.ho[...]
中東欧・旧ソ連諸国の選挙データ
[35]
뉴스
Lithuania's three major opposition parties sign electoral agreement
http://www.15min.lt/[...]
2012-05-25
[36]
웹사이트
http://www.bernardin[...]
[37]
서적
Lithuania
Rowman & Littlefield
[38]
저널
Lithuania
2003-12-00
[39]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9-06-22
[40]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5
CQ Press
[41]
웹사이트
Lithuania
http://www.parties-a[...]
2012-09-01
[42]
저널
Lithuania
2006-12-00
[43]
문서
Comparing Populist Political Parties in the Baltic States and Western Europe
http://www.ecprnet.e[...]
European Consortium for Political Research
[44]
서적
The Populist Radical Right in European Elections 1979–2009
Vandenhoeck & Ruprecht
[45]
서적
Lithuania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